유사품에 주의하세요!!!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발우 공양이란!
발우공양은 수행의 한 과정으로 좌선과 명상으로 마음가짐을 바로 잡은 다음 '적당한 양을 담는 밥그릇'이란 뜻이 담겨있고 템플스테이 등 스님들이 발우로 행하는 식사를 발우공양이라고 한다
1.발우의 명칭 및 도구
1)발우
어시발우(밥 발우)
1분자(국발우) 2분자(반찬발우) 3분자(청수발우)
2)발건(발우수건): 발우를 닦고 덮는 수건
3)발랑(발우보): 발우를 묶는 보자기
4)슬건(무릎수건): 무릎에 펴놓는 수건
5)발단(발상): 발우를 펼 때에 바닥에 끼는것
6)수젓집: 수저를 넣는 주머니
7)생반대 : 헌식용 작은 숟가락
2.오관상념게
내 공덕의 많고 적음을 헤아리고 이 음식의 유래를 헤아리니
내 덕행으로 받기가 부끄럽네
마음을 단속하여 허물과 탐욕 등에서 벗어남을 으뜸으로 여겨
몸의 부실함을 다스리는 약으로 바로 여겨
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먹습니다.
3.헌식
자신이 먹을 음식의 일부를 덜어서,온갖 귀신과 중생에게 내어주는 의식을 헌식이라고 한다. 생반대로 밥을 세 알 내지 일곱 알 정도를 떠서 왼손바닥 위에 놓고 감로인을 하고 생반게를 송한다.
4. 공양받음
1)음식은 떠서 한 입에 먹는다
2)밥에 있는 뉘는 까서 먹는다
3)어시발우에 비벼먹지 않는다
4)이리저리 돌아보지 않는다
5)허리는 곧게 펴고 발우를 들어서 먹는다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옮김:[천하일발]
德岩 김인규 "전통목기제작“에 63년 외길인생을...
나무 건조7~8년
초벌깍기=> 재벌깍기=>건조=>옻칠 =>물사포질
=> 옻칠,건조,물사포질(9~10회 반복)=>포장
100프로 수작업으로 혼과 정성을 다해서 하나의 작품으로 탄생합니다
3대째의 전통목기제작은 장인정신의 혼 입니다
한국일보 기사(2016.01.06)
스마트폰에
고려공예 010-3482-5837 입력하시고
전화 또는 메일 카톡 상담 의뢰시
대한민국 전통목기제작 (제2007-07호)
김용오 3대계승인이
직접 고객님께 도움드리겠습니다
감사합니다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대한민국 전통목기제작 기능전승자의 집